안녕하세요! 오늘은 Azure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Azure는 AWS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서비스 입니다.

 

 

그렇다면 클라우드 서비스는 어떤 의미일까요? 제가 생각해본 클라우드는 이렇습니다.

 

본인이 소유하지 않고도 사용료를 지불하고 다양한 I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

이러한 점 때문에 뽑히는 클라우딩 서비스의 대표적인 장점이 바로 Resourece Pooling 입니다

 

내가 가지고 있지도 않는 자원들( Ex : 메모리, 저장공간 등등...)을 내 것 처럼 활용할 수 잇기 떄문이죠

 

이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어 잇는지, 나에게 어떤 것이 필요한지 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Azure 관련 첫 게시물은 포괄적인 소개를 드릴겁니다

  1. 저장, 공유 목적의 기능

IT 관련 종사자가 아니라면 사실 클라우딩 플랫폼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분들이 적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네이버나 구글 등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를 써보신 분들은 많을텐데요

 

해당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저장 서비스도 이와 유사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Azure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서비스가 바로 Storage Account 입니다

 

Storage account는 저장소를 제공하는 아주 단순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file, blob, table, queue 등 다양한 형태의 파일이 저장이 가능합니다

 

 

<Storage Account>

그러나, 우리는 해당 저장소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함께하는 팀원들에게 Azure Active Directory를 통해 접근권한을 제공함으로써 저장소를 공유할 수 있고

 

또, 해당 저장소에 프로젝트 결과물을 자동백업 시킴으로써 가용성을 높힐 수도 있습니다

 

  1. 자원 차용의 목적

 

저장소도 자원이지만 여기서 말하는 자원은 메모리, cpu 등등이 되겠습니다

 

Azure 내에서는 Virtual Machine 이라는 가상머신을 활용하여 자원을 빌릴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머신러닝 등 많은 자원이 요구되는 작업을 대신 수행해줌으로써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죠

 

 

<VM>

 

위 그림에 있는 VM등을 이용해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앱을 구동할 수도 있고, 본인이 원하는 최적의 환경에서 일을 진행할 수도 있겠네요

 

  1. 서비스 목적

 

Azure 에서는 Wep app, Virtual Machine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은 차 후에 게시 하도록 하겠습니다)

 

코딩을 통해 원하는 값을 얻는 것 까지가 아니라, 본인이 직접 구현한 프로그램, 솔루션들을 서비스화 시키고 싶다면


이런부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1. 이 외의 기능

 

사실 위에서 솔루션들을 크게 나누어 놓은 것이지 Azure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매우 약소한 부분만이 소개되었습니다


주요하게 쓰일 수 있는 부분을 약술해 보자면

 

 

 

DNS ZONE - Azure 내에서 만든 주소를 회사 주소와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

 

Virtual network - 연결망 분리기능

 

Load Balance - instance를 나누어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술

 

traffic Manager - 두개의 웹(다른 지역에 위치한)을 만들었을 시, 위치정보를 통해 더 가까운 쪽으로 접속 유도하는 것

 

SQL server - Azure 상에서 SQL 형태로 정보처리를 하는 기능

 

 

이런 것들이 존재합니다.

 

이 것 또한 일부수준이기 때문에 필요한 서비스를 좀 더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Recent posts